Universe78 은하 회전과 속도곡선 및 암흑물질의 증거 은하의 회전운동과 관측된 이상현상은하는 수많은 별들과 성간물질, 가스, 먼지, 그리고 중심부의 초대질량 블랙홀 등으로 구성된 거대한 천체 집합체이다. 이들 구성 요소는 중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며, 집단적으로 하나의 회전 운동을 보인다. 고전역학적으로 해석하면, 질량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에서의 인력은 약해지므로 회전 속도는 느려져야 한다. 즉, 태양계와 같이 대부분의 질량이 중심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 중심에서 멀어진 행성일수록 공전 속도는 감소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은하의 회전 곡선을 관측한 결과,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일정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1970년대 베라 루빈(Vera Rubin)과 켄트 포드(Kent Ford) 등이 주도한 회전 곡.. 2025. 6. 28. 열린 우주 폐쇄 우주 그리고 끝의 개념 우주의 팽창과 현재의 과학적 관측인류는 오랜 세월 동안 우주의 본질과 그 경계에 대해 탐구해 왔다. 과연 우주는 유한한가, 아니면 무한한가? 끝이 존재하는가, 혹은 끝이라는 개념 자체가 무의미한 것인가? 이러한 철학적 질문은 20세기 이후 본격화된 천문학적 관측과 이론물리학의 발전에 따라 과학적 접근이 가능해졌다. 특히 허블의 법칙에 기반한 우주 팽창의 발견은 우리가 관측하는 모든 은하가 서로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냈고, 이에 따라 우주가 정적인 공간이 아니라 동적인 구조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 우주의 팽창은 매우 정밀한 관측장비를 통해 확인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표적인 증거는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CMBR)이다. 13.8.. 2025. 6. 28. 외계문명 부재와 문명생존 그리고 관측한계 외계문명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인간 문명은 지구라는 행성에 기반하여 발전해 왔으며, 과학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우주에 대한 관심 역시 깊어져 왔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라디오 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의 발달은 외계문명 탐색의 가능성을 비약적으로 높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어떠한 확정적인 외계문명의 존재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페르미 패러독스’라 불리는 인식적 충돌로 이어진다. 1950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가 던진 “그렇다면 다들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은, 우주에는 수많은 별과 행성이 존재하고 생명체가 탄생하기에 충분한 환경도 풍부한데, 왜 우리는 그들과 접촉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잘 보여준다. 이 문제의 핵심은 통계학적 가능성과 실제 관.. 2025. 6. 27. 우주에서 물은 어디에 있을까? 생명의 단서 물은 우리 지구의 생명체가 존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물은 지구뿐만 아니라 우주의 다른 곳에도 존재할까요? 그리고 그곳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우주에서의 물의 존재 여부와 분포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외계 생명체 탐사와 우주 진화 연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되었습니다. 물은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화학적 반응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일 뿐만 아니라, 행성의 기후, 지질학적 변화, 심지어 우주의 물질 순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주 곳곳에 숨겨진 물의 다양한 형태와 그 의미, 그리고 생명체 탐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학적으로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화성, 얼음 위성, 혜성, 성간 물, 외계 행성 등 여러 주제를.. 2025. 6. 26. 빛보다 빠른 건 존재할까? 광속과 물리학의 한계 우주는 광속이라는 절대적 속도 한계 위에 세워져 있다는 것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으로부터 확립된 기본 개념입니다. 하지만 ‘빛보다 빠른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은 과학자뿐 아니라 대중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주제입니다. 우주여행, 시간여행, 그리고 고차원 물리학의 개념들이 모두 이 질문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빛의 속도와 그 한계, 그리고 빛보다 빠른 속도를 논의하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들에 대해 전문가 시각에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광속과 관련된 핵심 키워드인 상대성이론, 타키온, 워프 드라이브, 양자 얽힘, 특수상대성 이론 등을 중심으로 이해를 도울 것입니다.광속의 의미와 상대성이론에서의 역할빛의 속도는 진공 상태에서 약 299,792,458 미터/초로.. 2025. 6. 26. 태양은 언제 사라질까? 태양의 수명과 그 후의 지구 우리가 살아가는 이 지구는 태양이라는 거대한 항성 덕분에 생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태양도 영원하지는 않습니다. 태양의 수명은 한정되어 있으며, 결국 언젠가는 소멸하거나 변화를 겪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태양은 정확히 언제 사라질까요? 또 태양이 소멸한 뒤 지구와 인류는 어떤 운명을 맞이하게 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태양의 탄생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남은 수명과 태양의 마지막 순간까지 전문가적 관점에서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태양의 핵융합 과정, 적색거성 단계, 백색왜성으로의 진화, 그리고 지구의 미래와 관련된 키워드들도 풍부하게 다루어 이해를 돕겠습니다.태양의 탄생과 현재 상태: 약 46억 년의 주계열성태양은 약 46억 년 전에 거대한 분자 구름에서 중력 붕괴를 통해 탄생한 주계열성입니다... 2025. 6. 25.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